본문 바로가기

반응형
SMALL

Architecture

(5)
[Architectural Design] 지목의 종류와 의미 토지 지목의 종류와 의미 먼저 지목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 지목이란, - 토지의 주된 용도에 따라 토지의 종류를 구분하여 지적공부에 등록한 것을 말합니다. - 필지마다 하나씩 설정되어 있으며 토지의 성격, 용도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현재 쓰임새를 말합니다. - 토지가 일시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변경하지 않습니다. 지목의 종류, - 지목의 종류는 총 28가지로 구분하여 규정되어 있습니다. - ()는 부호를 말합니다. 1. 전 (전) => 물을 상시적으로 이용하지 않고 곡물 원예작물 (과수류는 제외), 약초, 관상수, 뽕나무, 닥나무, 묘목등의 식물을 주로 재배하는 토지와 식용으로 죽순을 재배하는 토지를 의미합니다. 2. 답 (답) => 물을 상시적으로 이용하여 벼, 연, 미나리, 왕골 등의 식..
[Architectural Design] 토지이음 사용법 토지이음 사용 방법 이번 글은 건축 설계 업종에 계신다면 다들 사용하신다는 토지 이음 홈페이지의 사용방법에 대해 작성하겠습니다. 먼저 토지이음 홈페이지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들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. 1. 지목. 2. 면적. 3. 개별공시지가(㎡당). 4. 지역지구. 5. 행위제한내용. 위의 5가지의 내용을 확인 가능합니다. 5가지 내용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. 첫번째, 토지이음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. http://www.eum.go.kr/web/am/amMain.jsp 토지이음 이음지도, 용어사전, 질의회신사례, 규제법령집, 주민의견청취 공람, 도시계획통계 제공 www.eum.go.kr 두번째, 아래 사진의 1번에 알고자 하는 주소를 직접 입력하거나, 2번의 시도. 시군구. 읍면동..
[CAD] Auto Cad & Cad Power 단축키 02 Auto Cad & Cad Power 단축키 모음집 LK (layerlock) : 선택 레이어 잠금. LUK (layepunlock) : 레이아 잠금 해제. W (wblock) : 선택 객체 분리 저장. VIEWPORTS : 화면 분활. B (block) : 블록 생성, 편집, 열기. PL (pline) : 폴리선 작성. PE (pedit) : 기본선 선택 => 폴리선으로 전환, 폴리선 선택 => 선택된 폴리선 편집. 이 글의 목적은 제가 설계사무소에 근무하며 배우고 자주 사용 하는 단축키를 기록하기 위해 작성했습니다. 프로그램의 단축키 설정이 변경되어있어 제가 작성한 단축키와 안맞을 수 있습니다.
[Architectural Design] 건축 지적도 작성 지적도 작성 법 -땅 튀기는 방법 토지이음 (http://www.eum.go.kr/web/am/amMain.jsp) => 토지 이용 계획원 출력. 세움터 (https://www.moleg.go.kr/index.es?sid=a1) => 민원서비스 =>기타서비스 => 지적 전산 파일 제공 => 해당 대지 검색 => 도면에 표시할 대지 선택 후 다운로드. CAD => 스케일(단축키:sc) 1000으로 변경 => 지도 확인 후 도면에 도로, 인접대지 표시 => 인도, 횡단보도 표시. 법제처 (https://www.moleg.go.kr/index.es?sid=a1) => 주차장 조례 = 부설주차장의 설치대상시설물 종류 및 설치기준 : 시설별 주차장 설치 기준 확인. => 건축 조례 = 대지안의 공지 : 대상 건축..
[CAD] Auto Cad & Cad Power 단축키 01 Auto Cad & Cad Power 단축키 모음집 LEO (layerexceptoff) : 선택 레이어 제외 모든 레이어 동결. LON (layeron) : 동결된 레이어 동결 해제. IOD (insulationopenmarkdraw) : 단열재, 오픈구간 표시. => 레이어 미리 설정 가능. IMAGEFRAME : img 테두리 투명도 설정. IAT (imageattach) : PDF 파일 (IMG) 불러오기. PY (㎡convpy) : 면적(㎡)을 평으로 계산. APY (areapy) : 객체의 면적 계산(㎡). AL (align) : 참조 선의 각도로 객체 회전 (아래 사진 참고). XC (xclip) : 블록 경계 설정. O (offset) : 간격띄우기. => 계단 작성 할 때 O -> n /..

반응형
LIST